소화기
위장관 운동 생리
그분의 제자
2024. 6. 22. 08:55
728x90
반응형
SMALL
위장관의 운동 생리는 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위장관 운동은 식후 운동과 공복기 운동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운동 패턴과 기능이 다릅니다. 아래는 위장관 운동 생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1. 식후 운동 (Postprandial gastric motor activity)
- 위 식후 운동 (Postprandial gastric motor activity)
- 식도 위부 relaxation: 음식을 삼킬 때 식도에서 위로 음식이 이동하는 반응
- 위 식도 accommodation: 음식이 위에 들어오면 위의 용적이 증가
- Proximal antral contraction: 위의 근육 수축으로 음식물이 이동
- Distal antrum에서 강력한 peristaltic waves: 강한 연동 운동으로 위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이동
- 위 전정부 food emptying: 음식물의 십이지장으로 배출
- Terminal antrum emptying: 십이지장으로 음식물이 완전히 배출
- 공복기 위장 운동 (Migrating Motor Complex, MMC)
- MMC phase I: 1-2시간 지속, 근육 수축 없음
- MMC phase II: 30-45분 지속, 불규칙한 강한 연동 운동 발생
- MMC phase III: 5-10분 동안 규칙적이고 강한 수축 운동 발생
2. 소장의 운동
- Segmentation contraction: 장 내용물을 섞는 운동
- Peristalsis: 추진성 운동으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운동
3. 대장의 운동
- Phasic contractions: 배경 수축으로 대장에서 음식물 이동을 촉진
- Mass movements: 강력한 연동 운동으로 대장에서 변을 배출
위배출 시간 (Gastric Emptying Time)
위배출 시간은 음식물이 위에서 비워지는 속도를 의미하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약물검사법 (Scintigraphy)
- Gold standard: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음식물의 이동을 시각화
- 무선 이동성 캡슐 방법 (Wireless Motility Capsule)
- 소화관의 pH, 압력, 온도 변화를 측정하여 위배출 시간을 평가
대장의 운동
- 대장 운동 패턴
- Phasic contractions: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나는 주기적 수축
- Mass movements: 장기간 지속되는 강력한 연동 운동으로 변을 대장에서 직장으로 이동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