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

하부 위장관 출혈의 진단

그분의 제자 2024. 6. 29. 09:27
728x90
반응형
SMALL

1. 직장수지검사 (Rectal Examination), Anoscopy & Sigmoidoscopy

  • 적응증: 40세 미만의 경미한 출혈로 혈액학적으로 안정된 경우에 유용.
    • 목적: 항문질환, IBD, 감염성 대장염 등을 배제.

2. 대장내시경 (Colonoscopy)

  • 적응증:
    • 40세 이상의 경미한 출혈로 혈액학적으로 안정된 경우.
    • 심한/활성 출혈이 있는 경우.
  • 시행 방법: 대량의 세척(rapid high-volume colonic lavage) 후에 시행.

3. 상부위장관 내시경 (EGD)

  • 적응증:
    •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 상부 위장관 출혈을 배제하기 위해 우선 시행.
    • 상부위장관 출혈을 시사하는 소견이 있는 경우.
      • 소견:
        • 토혈
        • 멜레나
        • 장음 증가 (hyperactive bowel sound)
        • BUN 증가 (혈액량 감소 및 소장의 혈액 흡수 때문)

4. 혈관조영술 (Angiography)

  • 적응증: 활성/심한 출혈 시 유용 (1~64 단위마다 1 unit의 수혈 필요 시 시행).
  • 기술: 0.5 mL/min 이상의 출혈 탐지 가능.
  • 기능: 내장 동맥의 혈관수축 또는 색전술을 통한 지혈 조치 가능.

5. 방사성 동위원소 스캔 (Radionuclide Scans, e.g., 99mTc-RBC Scan)

  • 적응증: 활성 출혈이 의심될 때 유용.
  • 기술: 0.1 mL/min 이상의 출혈 탐지 가능, 장기적으로 출혈 부위 확인 가능.

요약

하부 위장관 출혈의 진단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직장수지검사와 Sigmoidoscopy는 경미한 출혈을 가진 젊은 환자에서 유용하며, 대장내시경은 40세 이상의 경미한 출혈 또는 심한 출혈 환자에서 사용됩니다. 상부위장관 내시경은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에서 먼저 시행되며, 혈관조영술과 방사성 동위원소 스캔은 활성 출혈을 탐지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