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해상도내시경(IEE)은 점막 구조와 혈관 패턴의 시각화를 개선하여 위장관 진단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기 다른 IEE 기술을 자세히 살펴보고, 의료 전문가들에게 제공하는 고유한 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확대 내시경 (Magnifying Endoscopy)
확대 내시경은 기존 내시경보다 80~100배 이상의 병소를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점막 형태와 혈관상 등 표면 미세구조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해주며, 조기 식도암과 조기 위암에서 병변의 범위 진단과 분화도 예측에 유용합니다.
- 조기 위암: Regular subepithelial capillary network pattern(SECN)의 소실, irregular microvascular pattern, 암과 비암 부위의 demarcation line 등의 소견.
2. 협대역 영상 (Narrow Band Image, NBI) 내시경
협대역 영상 내시경은 특수 광학필터를 이용하여 단파장의 청색(blue) 광을 강화하여 영상을 재구성합니다. 이를 통해 점막 표면을 매우 섬세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확대 내시경과 연동 사용 가능합니다.
3. 최적대역영상 (Optimal Band Image, OBI) 내시경
최적대역영상 내시경은 논문추정기술(computed spectral estimation technology)을 이용하여 특정 파장을 통해 영상을 재구성합니다.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다양한 파장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FICE: FUJI Intelligent ChromoEndoscopy
4. 자가형광영상 (Autofluorescence Image, AFI) 내시경
자가형광영상 내시경은 자가형광 반사와 병변 조직을 쉽게 감별하도록 재구성합니다. 형광물질 주입이 필요 없으며, 선택적 사용이 용이합니다. 색의 차이를 중앙을 쉽게 관찰 가능하지만, 위양성이 많고 해상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5. i-scan
i-scan은 고해상도 영상에 S/W적으로 color digital filter를 적용하여 원 영상을 변환시키고 강조하여 병변을 돋보이게 하는 내시경입니다.
- 모드: CE(Contrast enhancement), SE(Surface enhancement), TE(Tone enhancement) 등
6. 공초점 현미경내시경 (Confocal Endomicroscopy)
공초점 현미경내시경은 laser 광원 및 광학핀홀을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의 초점이 맞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점막 표면의 세포 및 조직 구조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며 광학적 조직 진단 기능을 제공합니다.
'소화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시경 시술의 합병증: 이해와 예방 (0) | 2024.06.19 |
---|---|
진정 내시경 검사: 이해와 활용 (0) | 2024.06.19 |
색소 내시경 검사 가이드 (0) | 2024.06.16 |
치료적 내시경의 이용 (0) | 2024.06.16 |
점막하 종양(Submucosal Tumor, SMT) 및 상피하 병변(Subepithelial Lesion) 가이드 (0) | 2024.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