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과 고리 (Web & Rings)

    728x90
    반응형
    SMALL

    1. Plummer-Vinson Syndrome

    • 특징:
      • Hypopharyngeal web: 인두와 식도 경계부에 얇은 막(web)이 형성되어 연하곤란(dysphagia)이 발생합니다.
      • 철결핍성 빈혈 (IDA): 빈혈과 관련된 증상으로 피로감, 창백함 등이 나타납니다.
      • Glossitis (설염): 혀의 염증으로 인해 붉고 부어오른 혀가 특징입니다.
      • Angular stomatitis (구각염): 입가의 염증으로 갈라짐과 통증이 동반됩니다.
      • Achlorohydria (위산 결핍증): 위산 분비가 감소하거나 결핍된 상태로, 소화불량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중년 여성에서 호발: 주로 40-60대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 예후: 철결핍성 빈혈과 관련된 증상들이 잘 치료되지 않으면 인두 및 식도암(SCC)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Lower Esophageal Mucosal Ring (Schatzki Ring)

    • 특징:
      • 위치: 위식도 경계부의 squamocolumnar junction에 위치한 얇은(2 mm) 막 형태의 수축(constriction)이 나타납니다. 이 고리는 원주상의 띠 모양 구조로 식도를 좁히게 됩니다.
      • 발생률: 정상인의 약 10%에서도 무증상의 고리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
      • 증상: 식도 내경이 1.3 cm 이하로 좁아지면 간헐적인 고형 음식 연하곤란(solid dysphagia)이 발생하며, 이는 점진적이지 않습니다.
      • 동반 질환: 항상 hiatal hernia와 동반되며, 60%에서 위산 역류가 발생합니다. 이는 산 억제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 치료: Bougie dilatation을 통해 식도를 확장시키지만, 재발이 흔합니다.

    3. Lower Esophageal Muscular Ring (Contractile Ring)

    • 특징:
      • 위치: Mucosal ring의 근위부에 위치하며, LES(Lower Esophageal Sphincter)의 비정상적인 최상부를 형성합니다.
      • 고리의 크기 변화: 고리의 크기가 변하면서 연하곤란(dysphagia)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감별진단: Peptic stricture, Achalasia, Musocal ring 등과 구별해야 합니다.
      • 치료: Dilatation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추가 설명

    Plummer-Vinson Syndrome은 중년 여성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철결핍성 빈혈과 인두의 얇은 막 형성이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연하곤란과 여러 구강 내 염증 증상이 나타나며, 치료되지 않으면 인두 및 식도암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Schatzki Ring은 위식도 접합부에 얇은 막 형태의 수축이 나타나 식도를 좁히게 되며, 이로 인해 고형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간헐적인 연하곤란이 발생합니다. 이 고리는 종종 hiatal hernia와 동반되며, 위산 역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Bougie dilatation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재발이 흔합니다.

    Lower Esophageal Muscular Ring은 LES 근처에 위치한 근육 고리로, 고리의 크기가 변하면서 연하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고리는 Peptic stricture나 Achalasia와 감별이 필요하며, Dilatation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식도 질환들은 각각의 특징과 증상, 치료 방법이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