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경구 황산나트륨(Oral Sodium Sulfate, OSS)과 고용량 폴리에틸렌 글리콜(4L PEG) 용액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한 연구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연구는 특히 노인 환자에서의 사용을 평가하였습니다.
연구 개요
연구 디자인:
- 198명의 참가자가 대장내시경을 수행
- 1:1 무작위 배정으로 OSS군(99명)과 4L PEG군(99명)으로 나뉨
- 추적 관찰 손실 및 순응도 문제로 인해 최종 분석에 포함된 인원:
- OSS군: 97명
- 4L PEG군: 96명
임상 안전 프로파일 (Table 3)
위장관 부작용:
- 구역:
- OSS: 0.8 ± 1.9
- 4L PEG: 0.6 ± 1.7
- P 값: 0.358 (유의미한 차이 없음)
- 구토:
- OSS: 0.1 ± 0.8
- 4L PEG: 0.3 ± 1.3
- P 값: 0.170 (유의미한 차이 없음)
- 복통:
- OSS: 0.7 ± 1.7
- 4L PEG: 0.5 ± 1.7
- P 값: 0.634 (유의미한 차이 없음)
- 복부 팽만감:
- OSS: 0.7 ± 1.7
- 4L PEG: 0.5 ± 1.7
- P 값: 0.634 (유의미한 차이 없음)
- 대변 실금:
- OSS: 0.7 ± 1.7
- 4L PEG: 0.5 ± 1.7
- P 값: 0.634 (유의미한 차이 없음)
- 대장내시경 시 아프타성 궤양:
- OSS: 2명(2.1%)
- 4L PEG: 1명(1.0%)
- P 값: 1.000 (유의미한 차이 없음)
신경계 부작용:
- 수면 장애:
- OSS: 0.5 ± 1.6
- 4L PEG: 0.6 ± 1.7
- P 값: 0.864 (유의미한 차이 없음)
- 마비:
- OSS: 0.0 ± 0.1
- 4L PEG: 0.1 ± 0.5
- P 값: 0.434 (유의미한 차이 없음)
- 전신 쇠약, 발작, 정신 변화, 갈증, 어지럼증, 따끔거림: 두 그룹 모두에서 큰 차이 없음
결론
경구 황산나트륨(OSS)은 고용량 폴리에틸렌 글리콜(4L PEG) 용액과 비교하여 노인 환자에서 유사한 안전성과 효과를 보였습니다. 두 그룹 간의 위장관 및 신경계 부작용 발생률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OSS는 노인에서도 효과적인 대장 정화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내시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큰 양성 대장 용종에 EPMR을 사용하는가? (0) | 2024.07.13 |
---|---|
대장 ESD 적응증: ESGE 가이드라인 개요 (0) | 2024.07.13 |
1L PEG + 아스코르브산 대장정화제의 ESGE 가이드라인 (2019) (0) | 2024.07.09 |
2L PEG + 아스코르브산의 주의사항 및 금기사항 (0) | 2024.07.09 |
만성 신부전(CRF) 환자에서의 2L PEG + 아스코르브산 대장정화제의 효과 (0) | 2024.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