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정보] 패혈증이란? 패혈증이 위험한 이유

    728x90
    반응형
    SMALL

    -introduction

     

    패혈증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사실 전에 사이토카인 폭풍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사실 둘은 굉장히 이어지는 이야기이다.

    사실 모든 감염병에서 발생하는 모든 합병증은 패혈증을 이야기를 안 하고선

    이야기를 할 수 없는 것이 많다. 하지만 개념이 일반인에겐 어렵다.

     

    의학에서도  굉장히 어려운 이야기이다.

    오늘은 이 부분에 관련하여 자세히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어떻게 하면 쉽게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고민이 된다.

     

    그래도 현재 코로나에 의해서 패혈증에 대한 case도 분명히 있으니

    소개를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여 이야기를 해본다.

     

    -정의

     

    크게 패혈증의 범주 내에서 의료인들은 9가지 정의를 배운다.

    bacteremia, septicemia, SIRS, sepsis, sever sepsis, hyptension, septicshock, refractory septic shock

    multiple-organ dysfunction syndrom

    이렇게 말이다.  --->이런 것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만 알자.

     

    여러분들은 2가지 정도만 알면 될 것 같다.

    SIRS, SEPSIS(패혈증)

     

    SIRS는 증상을 기준으로 이야기를 한다.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즉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이라는 뜻이다.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구강 체온 >38도 또는 36도 이하

    2. 호흡수>분당 24회  또는 동맥혈  PaCO2<32 mmHg

    3. 맥박> 분당 90회

    4. 백혈구 수치 >12000 or < 4000 

     

    등이다. 여기에서 2가지 이상이 해당이 되면 우리는 SIRS라고 본다.

    여기에서 감염에 의해 발생하면 우리는 SEPSIS 즉 패혈증이라고 보는 것이다.

    현재 교과서 기준은 그렇다.

     

    *여기서 잠깐만 고민해봐야 할문제.

     

    -많은 분들이 패혈증은 핏속에 세균이 있는 것으로 정의를 받아 들이고 있다.

     맞는 이야기다. 그런데 요즘은 사이토카인이 높아져서 장기를 손상시키는 상황들도

     같이 포함하여 이야기를 하는 것이 맞지 않나 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사이토카인 폭풍과 똑같은 이야기이다.)

     SIRS는 어떻게 보면 사이토카인이 높아져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보는 시선들이 많다.

     사실 이 정의는 몇번씩 계속 개정되어 왔던 것이다. 여러분들도 한번 고민해보시길 바란다.

     

     만약 이부분에 대해 현재 경향이 어떠한지 아시는 선생님이 계시면 

     댓글로 꼭 부탁드립니다. 많이 배우겠습니다.

     

    - 원인

     

    모든 균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든 상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여러분들이 상처가 나서 봉와직염이 생긴다면 그것에 의해서도

    패혈증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증상

     

    대부분 심각한 증상들이 많다.

     

    1. 열 혹은 저체온증

    2. 오한

    3. 빈백 (심장이 빨리 뛴다.)

    4. 백혈구의 숫자가 많아지거나 적어지는 상황

    5. 저혈압 --->순환기 심장의 문제 등

    6. 호흡곤란---> 급성 호흡부전 ARDS

    7. 핍뇨---> 소변 양이 줄어든다. --->신장(콩팥)의 문제

    8. 황달----> 간부전 관련 증상 

    9. 피가 계속 멈추지 않고 흐르는 증상.--->응고의 문제

    10. 의식 혼란, 의신 둔화 --->신경계 원인

     

    -합병증

     

    심폐 합병증, 신장 합병증, 응고장애, 소화기 합병증, 그리고 다발성 장기 부전

    등 일어날 수가 있다.

     

    이 글을 쓰는 초기에 나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서 급성호흡부전(ARDS)가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 적이 있다.

    사실 ARDS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패혈증이다. 패혈증에서 20-50% 정도는 ARDS를 발생시킨다.

     

     

    -치료

     

    치료는 어떻게 할까?

    배양 검사를 마치고 나서 보통 경험적 항생제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항생제를 투여하게 된다.

    여러분들이 흔히 개인병원에서 처방받은 항생제 종류와는 다른

    좀 더 범위가 넓고 강력한 항생제들이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패혈증 환자분들 중 Shock에 빠지신 분들은 ICU에 입원하여

     

    *septic shock이라는 것은

     패혈증 상태에서 (sepsis) + 저혈압이 있는데 수액요법으로도 잘 교정이 안 되는

     상태를 말한다.

     

    적극적인 치료를 받게 된다.

    여러분들이 TV에 보시는 것과 같이 수액을 맞고 항상 의료진들이 대기하고 있으며

    환자의 생명유지를 위해 해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적극적으로 적용을 한다.

     

    -예후

     

    그렇게 좋지가 않다. 교과서 기준을 한번 살펴보자

     

    사망률(30일 이내 기준) 

    SEVERE SEPSIS -즉 패혈증인 상황에서 한 개의 장기부전이 동반하고 있는 상황이다.

    -->20-35%

     

    SEPTIC SHOCK -패혈증인 상화에서 수액요법으로 교정되지 않는 저혈압이 있을 때

    -->40-60%

     

    즉 패혈증은 굉장히 적극적으로 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이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