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소아의 성장과 발달에 대해 알아보자.
1. 소아기의 구분
신생아기: 생후 4주간
*주산기 : 재태 28주부터 생후 1주까지
영아기: 1개월--1년
유아기: 학령전기: 1-5세
사춘기 청소년기: 11-20
2. 성장
1)백분위수
측정치를 순서대로 나열 했을때 가장작은 것이 1
가장 큰것이 100 백분위수에 해당한다.
2) 장기별 성장 유형
일반형 GENERAL TYPE: 키 체중 호흡기 소화기 신장 심장 비장
신경형 NEURAL TYPE: 4세 경에 성인의 80% 도달 뇌 척수 시각기 두위
림프형 LYMPHOID TYPE:
10-12세경 성인의 2배에 도달
---> 점차 위축하여 18세 즘 성인의 크기에 다시 돌아감
가슴샘 림프절 편도 등 림프 조직
생식형 : 생식기 유선 음모 자궁 전립 거의 18-20세에 성인 도달
3. 키
연령 | 출생 시 | 1년 | 4년 | 8년 | 12년 |
키 | 50 | 75 | 100 | 125 | 150 |
출생시 키에 대한 배수 | 1 | 1.5 | 2 | 2.5 | 3 |
1)제1성장 급증기 : 태아기 부터 2세까지 빨리 성장하는 시기
2)제2성장 급증기 : 사춘기 부터 15-16세까지 빨리 성장하는 시기
* 신체 비례
1) 성장은 두-->미 방향으로 진행
2) 몸의 중앙점 : 배꼽보다 약간 2CM 가량 위쪽에
-->배꼽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 (2세) ->치골 결합 부근에 위치 (16세)
*성장 유형
1)체중이 저하 (신짱 또는 두위에 비해 )
-열량 부족 섭취 부족 신진대사의 증가
2)체중과 신장저하 (두위에 비해 )
-골격계 이 영양증, 내분비 이상, 체질적 발육지연, 유전적 저신장
3)체중 신장 두위 모두 저하
-자궁내 손상, 자궁내 성장지연, 유전적 이상
연령 | 출생시 | 3개월 | 1년 | 2년 | 4년 | 6년 | 10년 | 12년 |
체중 | 3.3 | 6.6 | 10 | 13 | 16 | 20 | 30 | 40 |
출생시체중에대한 배수 | 1 | 2 | 3 | 4 | 5 | 6 | 10 | 12 |
생후 1세 때 증가배수
1)체중은 3
2)체표면적은 2
3)신장은 1.5
4)두위와 흉위는 1.3
5.두위
1)출생시 : 두위 34 흉이 33
2)1세 때 : 두위와 흉위가 일치
3)4세 때 : 약 50CM로 성인의 90%에 달함
6. 숫구멍
1) 뒷숫구멍: 생후 6-8주에 닫힘
2)앞숫구멍: 4-18개월에 ㅏㄷ힘
3)봉합선: 6-8개월에 닫힘
7. 치아 발생
1)유치 : 20 개 --> 생후 2년 반에 모두 남
*내절치 (6-8개월) 가장먼저남 --> 외절치 -->제1대구치 --> 견치 -->제2대구치 (20-30개월) :유치 중 가장 늦게남)
유치의 수 = 월령 -6
2) 영구치 :32개
1)제1영구 대구치 : 6세구치 (영구치 중 가장 먼저남) 치주 모형의 기본
2)제2영구 대구치: 12세구치
3)치아 발육 시기와 전신 발육의 시기는 무관
8. 가슴샘 흉선
1) 신생아때는 체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장 크고 실제 크기는 12세경에 가장 커지며
그후 점차 작아진다.
2) 크기 판독 시 고려할 사항
*호흡 상태 : 숨을 내쉬었을 때 음영이 더 커짐
*위치: 누워서 찍었을 때가 서서 찍었을 때 보다 음영이 더 넓어짐
*찍는 방향: 정면과 측면사진 모두 필요
흉부 사진에서 넓은 가슴샘이 반드시 비정상 소견은 아니고 흉부 측면 사진에서
기관의 압박이나 전위 소견이 보이면 비정상
*건강 상턔: 스트레스가 있거나 감염 스테로이드 치료 시 작아짐
9 심장 폐 간
1)심흉비 : 1세미만 55프로 1세이후 50 프로 미만
2)흉벽: 흉벽은 얇고 기관지는 상대적으로 큼
--> 흉벽을 통한 음의 진동이 더 잘 느껴지며 호흡음이 크고 고음
3)간 : 늑골 및 약 2 CM 가량까지 만져짐
10. 골연령 측정
1) 출생시 -영아 초기 : 무릎 관절
2)6개월 -6세 : 손목 & 손
3)12세 이후 : 팔꿈치 & 어깨 관절
'건강 정보 나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질환 정보] -고혈압- 내가 정말 고혈압일까 ? (2) | 2020.06.29 |
---|---|
[소아과] 운동 및 언어 & 사회적 행동의 발달 (0) | 2020.05.30 |
[응급조치] 뱀에 물렸을때 어떻게 해야 할까 ? (1) | 2020.04.22 |
[성인예방접종]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해서 (1) | 2020.04.21 |
[생명의 비밀] 삶과 죽음의 의미 - 의학 생물학적 접근 - (4) | 2020.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