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 | 운동 | 적응 | 언어 | 사회적행동 |
4주 | 목소리에 반응을 보임 미소 짓기 시작한다 |
|||
8주 | 주위 자극에 미소 짓는다. | |||
16주 | 목 머리를 가눈다. | 물건을 붙잡는다. | 크게 소리 내어 웃는다 | |
28주 | 뒤집는다(4-5개월) 잡아주면 혼자 앉는다(5개월) 배밀이로 간다 (7개월) 네 발로 간다 ( 8개월) |
장난감을 흔든다. | ||
40주 | 혼자 일어나 앉는다(8개월) 붙잡고 일어선다(9-10개월) 붙잡고 걷는다 (10개월) |
엄지와 집게손가락을 사용 | 반복되는 자음을 발음한다 (마마,빠빠) 이름을 부르면 반응 |
까꿍 짱짝꿍 바이바이 놀이를 한다. |
12개월 | 혼자 일어선다 (11개월) 혼자 걷는다(12개월) |
작은 물건을 엄지와 집게 손가락 만으로 집어든다. | 마마 빠빠 말고 다른 말을 몇 개 말 한다. | 컵으로 마신다. 옷을 입힐 때 자세를 맞춘다. |
15개월 | 혼자 잘 걷는다 (15개월) 층계를 기어 올라간다. |
입방체를 2개 쌓아 올린다. | ||
18개월 | 한 손 잡고 층계를 올라 간다. | 입방체 3-4개 쌓는다. | 신체 부위를 말한다. 1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한다. |
|
2년 | 잘 뛴다. | 입방체 6-7개 쌓는다. 직선을 기린다. |
간단한 문장을 말한다. | 숟가락질을 한다. |
3년 | 세발자전거를 탄다. 한 발로 잠깐 서 있는다. |
원을 보고 그린다. | 이름, 나이를 말한다. 셋까지 센다. |
손을 씻는다. |
4년 | 한 발로 뛴다. | 심자형 사각형을 보고 그림 | ||
5년 | 줄넘기를 한다. | 삼각형을 보고 그린다. | 열까지 센다. |
*발육 지연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
:사회적 미소가 2-3개월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 -->정신지체 의심
목가누기가 3-5개월에 나타나지 않은 경우 -->뇌성마비 의심
*언어 발달 이상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
1)12개월에 한 마디도 말을 하지 않을 경우
2)18개월에도 말보다 몸짓으로 의사표현을 하는 경우
3)만 2세에도 간단한 두 단어 문장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
4)3세가 되어도 문장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
2. 대소변 가리기
1)발달 순서 : 밤에 대변 --> 낮에 대변 --> 낮에 소변 --> 밤에 소변
2)밤에 소변가리기 : 여아 5년, 남아 6년까지 개인 가족에 따라 차이 존재함
*유뇨증의 진단은 6세 이후에 내려짐
3)대소변 훈련을 시작하는 적절한 연령 : 18 -24개월
3. 발달의 평가
1)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 텐버 발달 선별 검사
2) Bayley 영아 검사 : 3-24개월의 소아 발달 선별검사
3) 고대-비네 검사와 소아 wechsler 검사 : 소아용 지능 검사
청소년기
청소년기: 11-20
남자: 12-20 여자 10-18
1)키의 급성장과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생물학적인 성장
2)인지 발달의 성숙, 독립적인 성인으로 변화하는 정신 사회적 성숙
3)사춘기남자: 12-16, 5세 여자:10.5-14세는 청소년기의 일부분
1. 사춘기의 생리
1)에스트로겐과 안드로겐에 대한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감수성이 감소
-gnrh lh fsh 의 호르몬 증가 -> 생식기관 및 근골격계 기관을 자극함으로써 사춘기시작
고나도트로핀호르몬 증가 ->생식샘 자극 호르몬 증가 ->에스트로겐과 안도르겐 증가
생식샘 자극 호르몬은 낮에 비해 밤에 분비가 2-3배 정도 많다.
'건강 정보 나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질환 정보] -고혈압- 내가 정말 고혈압일까 ? (2) | 2020.06.29 |
---|---|
[소아과] 성장과 발달 (0) | 2020.05.29 |
[응급조치] 뱀에 물렸을때 어떻게 해야 할까 ? (1) | 2020.04.22 |
[성인예방접종]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해서 (1) | 2020.04.21 |
[생명의 비밀] 삶과 죽음의 의미 - 의학 생물학적 접근 - (4) | 2020.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