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요즘 들어 혈압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 많아지고 있다.
사실 이 주제에 대해 저번에도 간략히 설명 한적이 있었다.
하지만 다시 한번 구체적으로 설명드릴까 한다.
이번에는 잘못된 혈압 측정이 아닌 혈압이 높게 측정되었을 때
그 결과를 우리가 어떻게 해석할지 문제이다.
-혈압을 측정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많이 영향을 받는다.
1.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이 높게 나오는 경우
진료실에서 높게 나오는 혈압을 우리는 자주 본다.
그래서 집에서 측정하는 가정혈압측정을 선생님들께 권한다.
정확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
백의 고혈압 (White coar hypertension)
진료실 혈압: 140/90 이상
평균 주간 활동 혈압: 135/85 미만
2.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이 오히려 낮게 나오는 경우
가면 고혈압 (Masked hypertension)
진료실 혈압: 140/90 미만
평균 주간 활동 혈압: 135/85 이상
상황에 따라 이렇게 나눌수 있고 혈압이라는 것은 외부의 환경 영향을 받는다.
그것은 우리 몸이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받고 있어서 그렇고 이러한 부분이
혈압에 영향을 주기 때문 이다.
혈압은 심박출량과 말초 저항이라는 값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그중 심박출량도 물론 운동 시 관계가 있겠지만 말초 저항이라는 항목은
여러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부터 시작하여 만성질환이라는 항목까지
거의 모든 요소들이 말초 저항 값에 영향을 준다.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의 중요성----
자신의 혈압을 측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사항에서 중요하다고 느껴진다.
1. 우리 몸의 장기 기능의 적절성에 대해서 예측 할수가 있다.
우리몸의 장기가 적절하게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면 혈압이 올라갈 수가 있다.
-신장. 갑상선. 심장. 간 등등
2. 혈압은 만성질환의 관리에 첫 번째 단계가 될 수가 있다.
말초 저항이 올라간다 라는 것은 우리 몸의 건강 예측에 여러 가지 요소를 생각할 수 있다.
말초 저항과 고혈압의 개념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인과 관계에 놓여 있다는 것은
이제 모든 사람들이 알 것이다.
우리 몸에 말초 저항 값이 높아지게 되면 제일 걱정되는 것은 당뇨이다.
그래서 혈압이 높은 사람들은 당뇨에 걸리기 쉬운 측면도 바로 이러한 측면 때문이다.
인슐린과 포도당이 순환을 적절하게 하지 못하면 각 세포세포가 그때 그 순간에
적절하게 반응 또는 받아들이지 못할 수가 있다.
이러한 측면이 바로 만성질환의 도미노처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건강 정보 나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과] 운동 및 언어 & 사회적 행동의 발달 (0) | 2020.05.30 |
---|---|
[소아과] 성장과 발달 (0) | 2020.05.29 |
[응급조치] 뱀에 물렸을때 어떻게 해야 할까 ? (1) | 2020.04.22 |
[성인예방접종]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해서 (1) | 2020.04.21 |
[생명의 비밀] 삶과 죽음의 의미 - 의학 생물학적 접근 - (4) | 2020.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