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무늬근/횡문근 (Striated Muscle) 장애

    728x90
    반응형
    SMALL

    1. 인두마비 (Pharyngeal Paralysis)

    원인:

    • CVA (Cerebrovascular Accident): 뇌졸중으로 인한 인두 근육의 마비.
    • Poliomyelitis: 폴리오 바이러스 감염.
    • Post-polio Syndrome: 폴리오 회복 후의 만성 증후군.
    • Polyneuritis: 다발성 신경염.
    • Myasthenia Gravis: 자가면역성 신경근육 접합부 질환.
    • Polymyositis: 근육의 염증성 질환.
    • Dermatomyositis: 피부 및 근육의 염증성 질환.
    • Myopathies: 근육 질환.

    증상 (Sx):

    • 구강인두 연하곤란 (Oropharyngeal Dysphagia): 음식물 삼키기 어려움.
    • 비강역류 (Nasal Regurgitation): 삼킴 후 음식물이 코로 역류.
    • 삼킴 곤란 (Swallowing): 삼킴 자체가 어려움.
    • 기도 기관 흡인 (Tracheobronchial Aspiration):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는 것.
    • 후두 근육 침범에 의한 쉰 목소리 (Hoarseness).

    진단 (Dx):

    • 병력청취 (Hx): 환자의 증상 및 병력을 청취.
    • 비디오 연하 조영검사 (Videofluoroscopic Swallow Study, VFSS): 삼킴 기능 평가.
    • 식도내압검사 (Manometry): 식도 압력 측정.

    치료 (Tx):

    • 원인질환 치료: 원인에 따른 치료.
    • 영양공급 (NG tube, Gastrostomy 등): 영양 공급을 위한 방법.

    2. Cricopharyngeal Bar (Dysfunction)

    원인:

    • 지속적 Cricopharyngeal Bar: 섬유화로 인한 것 (→ Myotomy로 치료).

    증상 (Sx):

    • 음식을 인두로 잘 통과하지 못함.

    진단:

    • 바륨 연하검사: 인두 후부에 뚜렷한 융기 소견 관찰.
    • 정상인에서도 Valsalva Maneuver 시 나타날 수 있음.

    치료 (Tx):

    • Myotomy: 섬유화로 인한 Cricopharyngeal Bar를 치료하기 위한 수술.

    3. 인두 이물감 (Globus Pharyngeus)

    증상 (Sx):

    • 연하곤란은 없으나, 지속적으로 인두 부위에 무언가 걸린 듯한 느낌.

    진단:

    • 바륨 연하검사 또는 식도내압검사 정상.

    치료 (Tx):

    • 심리적 안심 치료: 환자의 불안을 줄이는 심리적 접근.

    요약

    가로무늬근 장애는 인두마비, Cricopharyngeal Bar, 인두 이물감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이 다릅니다. 인두마비는 다양한 신경 및 근육 질환에 의해 발생하며, Cricopharyngeal Bar는 섬유화로 인해 발생하며, 인두 이물감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