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sphagia (연하곤란)의 진단적 검사

    728x90
    반응형
    SMALL

    1. 영상검사

    Videofluoroscopic Swallow Study (VFSS):

    • 유용성: 구강 및 인두 연하곤란 진단에 유용합니다.
    • 절차: 환자가 다양한 식품을 삼킬 때 X-ray 비디오 촬영을 통해 삼킴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합니다.

    Esophagogram:

    • 바륨 연하: 바륨을 삼키며 X-ray 촬영을 통해 식도 및 위장관의 구조를 평가합니다.
    • 이중 조영법: 질환의 해부학적 발견에 유용합니다.
    • 참고: 연동운동 장애는 누운 자세에서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식도내시경 (Esophagoscopy)

    • 유용성: Barium Study와 함께 시행하면 질환 발견율을 높이고 조직학적 검사도 가능합니다.
    • 절차: 내시경을 삽입하여 식도 내부를 관찰하고, 필요 시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3. 식도내압검사 (Manometry, Motility Test)

    • 절차: 3-5 cm 간격으로 pressure sensor가 있는 catheter를 삽입하여 압력을 측정합니다.
    • 유용성:
      • Achalasia, Diffuse Esophageal Spasm, Scleroderma: 식도 운동장애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 GERD: LES의 압력을 측정하고 식도체부 운동장애 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제한점: Mechanical Dysphagia 진단에는 도움되지 않습니다.

    4. 고해상도 식도내압검사 (High-Resolution Manometry, HRM)

    • 절차: 압력센서가 1 cm 간격으로 위치하여 식도 전 부문의 압력을 세밀하게 기록합니다.
    • EPT (Esophageal Pressure Topography): 압력을 색으로 표시한 3D color plot으로 표시합니다.
      • UES Opening: UES의 압력 및 위치를 표시합니다.
      • LES Opening: LES의 압력 및 위치를 표시합니다.
      • 이동성 압력파: 정상적인 연동운동을 평가합니다.

    진단 내용

    Achalasia:

    • 특징: 식도 동하역의 amplitude 감소, simultaneous-onset contraction, LES의 완전 이완 불가.

    Diffuse Esophageal Spasm:

    • 특징: 식도 타일 baseline 연하, 식도 동하역의 amplitude 및 duration 증가, repetitive simultaneous-onset contraction.

    Nutcracker Esophagus:

    • 특징: 식도 동하역의 amplitude 및 duration 증가, 정상 peristalsis.

    Scleroderma:

    • 특징: 식도 동하역의 amplitude 감소, LES 압력 감소.

    요약

    Dysphagia (연하곤란)의 진단에는 다양한 검사가 사용됩니다. 주요 영상검사로는 VFSS와 Esophagogram이 있으며, 식도내시경은 병변 발견 및 조직 검사에 유용합니다. Manometry와 HRM은 식도의 압력 및 운동 기능을 평가하여 Achalasia, Diffuse Esophageal Spasm, Nutcracker Esophagus, Scleroderma 등의 식도 운동장애를 진단합니다. 각 방법은 특정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