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콩팥의 구조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신장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 대략적인 해당 장기의 구조를 공부하는 것은
진단하는 것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콩팥의 구조는 체액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에 맞게 그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우리 몸은 들어온 만큼 적절하게 배설을 해야 한다.
그 구조에서 특히나 콩팥이 하는 역할은 용질과 수분 배설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콩팥의 위치는 우리몸 좌우에 1개씩 위치하고 있다.
해리슨 내과에 따르면 위치를 T12-L3 후 복벽 대게 왼쪽 신장이 오른쪽 신장보다 더 위에 위체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수 있다. (보통은 오른쪽과 왼쪽의 높이 차이는 2-3cm라고 한다)
크기는 보통 10cm이며 폭이 약 5cm 그리고 두께는 3cm라고 한다.
무게는 보통 120-150g라고 하는데 다른 문헌에 따르면 100-150g 사이로 다양하다고 한다.
크기를 어느정도 알아야 하는 이유는 만성신부전 급성신부전의 감별에 있어서
(초음파) 크기의 감소 즉 위축 정도가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는 것이 좋다.
콩팥은 콩팥 동맥에 의해서 혈액공급을 받고 있다.
보통 이 장기의 중요도는 심박출량을 기준으로 하였을때 몇% 의 혈액이 공급해주느냐를 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이다.
신장은 무려 심박출량의 1/5 즉 20% 가량의 혈액을 공급받고 있다.
굉장히 중요한 장기라는 뜻이다.
콩팥의 단위 (nephron)
우리가 tv나 유투브에서 건강 상식 관련된 내용을 보다 보면
콩팥을 설명하면서 여러 의료인들이 네프론이라고 말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을 것이다.
네프론은 사실 기능의 단위이다.
사구체와 그것을 감싸고 있는 보우만주머니 그리고 요세관으로 구성된다.
요세관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 질수 있다.
토리쪽세관(근위세관), 콩팥 세관 고리(헨레 고리), 먼 쪽 세관(원위 세관) 및 집합관
이것들의 기능은 추후에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다.
콩팥의 구조는 이정도로 요약하고 추후에 각각의 더 세부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여러 가지 신장 질환을 정리하면서 공부를 해볼 생각이다.
'신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석환자 인 조절 관련 - 처방 (0) | 2021.05.10 |
---|---|
[신장학] 만성신부전 - 내분비- 대사 이상 "투석 과 혈당 조절 이상 -저혈당" (1) | 2021.03.15 |
[신장학] 만성 신부전- 심혈관계 이상 "투석과 심장과의 관계" (0) | 2021.03.14 |
[신장학] 산염기 균형의 조절 (0) | 2021.03.13 |
산염기 장애를 판단 할수 있는 ABGA를 읽는 방법과 순서 (0) | 2021.03.12 |
댓글